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5년 2월) 라온시큐어 심층분석 | 주가전망
    투자 Invest 2025. 2. 6. 19:26

     

    1. 기업 개요 및 역사

    라온시큐어는 1998년 4월 설립된 정보보안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모바일 보안디지털 인증 분야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라온시큐어의 핵심 사업은 두 축으로 나뉩니다.

     

    첫째, 보안 솔루션 부문으로 PC와 모바일 환경 전반에 걸친 모바일 보안, 생체인증(FIDO),

    제로 트러스트 기반 접근제어 등의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대표 제품으로는 다채널 생체인증 플랫폼인 TouchEn OnePass와 통합 계정권한관리 플랫폼 TouchEn WiseAccess 등이 있으며, 모바일 백신, 가상 키패드, 앱 위변조 방지 솔루션 등 다양한 보안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둘째, 인증 서비스 부문으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신원증명(DID) 플랫폼 옴니원(OmniOne)을 중심으로 한 신원 인증 및 자격증명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라온시큐어는 이 OmniOne 디지털 ID 플랫폼을 통해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신분증(모바일 공무원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 구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국내 디지털 신원 인증 분야에서 기술력과 신뢰도를 인정받았습니다

     

    또한 자회사 라온화이트햇을 통해 화이트해킹 기반의 보안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보안 솔루션부터 컨설팅까지 아우르는 종합 보안 역량을 갖추고 있습니다

     

    2. 최근 3년간의 주요 뉴스 및 이벤트

    최근 3년간 라온시큐어는 보안 업계 트렌드에 맞춘 신제품 출시와 정부 주도 사업 수행, 그리고 조직 재편 등 다양한 이슈가 있었습니다. 주요 사항을 연도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라온시큐어는 행정안전부의 모바일 공무원증 사업을 성공적으로 구축하여 국내 최초로 블록체인 기반 국가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를 개시했습니다

     

    또한 같은 해 12월에는 국방부 산하 병무청의 블록체인 간편인증 서비스를 ‘옴니원’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공인인증서나 OTP 없이 병무청 민원포털에 간편 로그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오픈했습니다​

     

    2022년: 정부의 디지털 신분증 확대 정책에 따라, 라온시큐어는 모바일 운전면허증e-병무지갑 서비스 등 대국민 디지털 신분증 사업을 잇따라 수주·구축하였습니다

     

    한편 2022년에는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21년만에 공인인증서 제도가 공식 폐지되었는데, 이로 인해 공인인증서를 대체할 민간 인증수단으로 라온시큐어의 생체인증+블록체인 DID 플랫폼 ‘옴니원’이 큰 관심을 받기도 했습니다

     

    2023년: 라온시큐어는 사업 구조 재편과 신기술 공개 측면에서 굵직한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먼저, 자회사 흡수합병 결정으로 2012년 설립되어 화이트해킹 컨설팅을 담당하던 라온화이트햇(주)을 2023년 12월 1일자로 흡수합병 완료했습니다​

     

    합병을 통해 보안 컨설팅 역량을 내부화하고 솔루션 사업과의 시너지를 높여 규모의 경제를 도모한다는 전략입니다.

     

    둘째, 신기술·신제품 공개로 2023년 10월에는 블록체인 기반 보안·인증 및 양자내성암호(PQC)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솔루션들을 대거 선보였습니다. 예를 들어 라온시큐어는 전자서명과 구간암호화 솔루션에 양자내성암호를 적용한 ‘KeySharp’ 제품군을 상용화하여 국방, 금융 등 고보안 영역에 공급을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딥페이크로 인한 보안 위협이 대두됨에 따라, 인공지능이 생성한 합성영상 여부를 탐지하는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개발하여 2024년 4분기부터 모바일 백신 제품에 해당 기능을 추가할 계획임을 밝혔습니다​

     

    마지막으로 2023년에는 국가 디지털 신분증 사업의 일환으로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서비스를 구축 완료하였고, 나아가 차세대 모바일 주민등록증 사업도 진행하며 정부 디지털 신원증명 분야를 선도하였습니다. 

     

    3. 경쟁사 비교 및 SWOT 분석

    주요 경쟁사 비교

    라온시큐어가 속한 정보보안/인증 분야에는 여러 경쟁사가 존재하며, 각 사마다 강점 분야와 사업규모가 다릅니다. 국내 주요 경쟁사로는 예시로 드림시큐리티, 파수(옛 파수닷컴), 안랩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이들 경쟁사와 라온시큐어를 간략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드림시큐리티: 드림시큐리티는 공인인증서 및 전자서명 분야에 강점을 지닌 보안 기업으로, 원격 인증과 PKI 기반 보안솔루션을 주력으로 합니다. 본래 소프트포럼에서 분사된 이후 성장한 회사로 알려져 있으며, 공공기관 및 금융권에서 인증서 기반 보안 솔루션 공급을 많이 해왔습니다. 라온시큐어와는 전자서명/인증 시장에서 직접 경쟁하며, 공인인증서 제도 폐지 수혜주로 함께 언급되기도 했습니다​. 두 회사 모두 국내 전자서명 기술 역사가 깊고 금융권 레퍼런스가 많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드림시큐리티는 전통적인 인증서 및 암호화 모듈에 강하고 라온시큐어는 FIDO 기반 생체인증과 DID 신원증명 등 차세대 인증기술에 보다 집중하고 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2020년 공인인증서 폐지 당시 라온시큐어 주가가 25% 급등할 때 드림시큐리티도 14% 동반 상승하는 등 시장에서 동종 업종으로 인식됩니다​
    • 파수(Fasoo): 파수는 문서보안(DRM) 솔루션 분야에서 국내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한 회사입니다. 기업 내부 정보유출 방지와 문서 암호화에 특화된 솔루션이 주력이며, 최근에는 데이터 보안 및 문서 가시성 플랫폼 등으로 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파수와 라온시큐어는 모두 “정보보안”이라는 큰 범주에 속하지만 사업영역의 초점이 다소 다릅니다. 파수가 데이터/콘텐츠 보안에 강점을 가진 반면, 라온시큐어는 사용자 신원 인증과 접근 제어에 중점을 둡니다. 따라서 직접적인 경쟁보다는 상호 보완적인 영역이 많지만, 한정된 고객사의 정보보안 예산 내에서 경쟁할 수는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공공기관이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면서 동시에 문서보안 체계를 도입하려 할 때 두 회사의 솔루션이 패키지 형태로 고려되거나 또는 예산 경쟁을 할 수 있습니다. 규모 측면에서는 파수의 연 매출이 300억원대 수준으로 라온시큐어와 비슷한 중소형 기업이며, 기술력으로 해외시장 (미국 등) 개척 시도를 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유사합니다. 최근 정보보호 업계 전반의 과제인 클라우드 보안 전환, AI 활용 등에 대응하며 서로 다른 분야의 전문성을 지니고 있어, 투자 시 두 회사를 동일 섹터 내 포트폴리오로 묶어서 분산투자하는 전략도 고려되곤 합니다.
    • 안랩(AhnLab): 안랩은 대한민국 사이버보안 업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기업으로, 백신/엔드포인트 보안 분야의 절대강자입니다. 시가총액 기준으로도 다른 경쟁사들 대비 압도적으로 규모가 크고 (매출 1,800억 원 이상) 수익성도 안정적입니다. 안랩은 PC용 백신, 기업용 보안관제, 클라우드 보안 등 종합 사이버보안 서비스를 제공하며, 브랜드 신뢰도가 높습니다. 라온시큐어와 직접적인 사업 겹침은 크지 않지만, 사업영역 확장 차원에서 경쟁 구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랩은 자체 통합보안 플랫폼 내에 계정관리인증 모듈을 포함시킬 수 있고, 이미 안면인식 출입 보안이나 업무망 보안 등 인증 관련 솔루션을 일부 보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 보안 인프라 구축 사업에서 라온시큐어의 인증 솔루션 vs 안랩의 통합 솔루션이 경합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다만 안랩은 인증 분야에서 독자 플랫폼보다는 필요 시 외부 전문 기술과 연계하는 방식을 취해왔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경쟁사라기보다 파트너가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오히려 글로벌 시장에서 보면 두 회사 모두 Microsoft, 구글 등 거대 IT기업의 보안 프레임워크와 경쟁하거나 그 생태계 안에서 협력해야 하는 입장이라, 범주를 넓히면 국내 보안 전문업체 vs 글로벌 빅테크의 구도로 함께 도전하는 측면도 있습니다.

    SWOT 분석

    라온시큐어의 내재적 경쟁력과 사업 환경을 SWOT 관점에서 평가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Strengths (강점): 라온시큐어는 인증 보안 분야의 전문성선도적 지위를 강점으로 갖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세계 최초 FIDO UAF/FIDO2 인증을 획득하고 금융권 최초 생체인증 서비스를 구축하는 등 글로벌 인증기술 표준화를 주도한 실적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 리더십은 곧 시장 신뢰도로 이어져, 행정안전부를 비롯한 정부의 핵심 디지털 신분증 사업자로 선정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즉, 굵직한 레퍼런스 확보가 최대 강점이며, 정부를 레퍼런스로 삼아 민간 대기업/공기관에서 추가 사업을 수주하기에 유리한 위치입니다. 또한 보안 솔루션부터 화이트해킹 컨설팅까지 서비스 라인업을 확보하여 토털 솔루션 제공능력이 있다는 점, 삼성전자(SEAP) 공식 파트너 등 대기업과의 협력 네트워크를 보유한 점도 경쟁우위로 볼 수 있습니다​

        . 재무적으로는 부채비율이 50% 미만으로 낮아(자본 대비 부채 규모가 크지 않음) 재무건전성이 비교적 양호하고, 무차입 경영에 가까워 금리변동에 대한 리스크가 제한적입니다. 이익잉여금도 적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필요한 경우 R&D 투자 여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요약하면, 라온시큐어의 강점은 (기술+레퍼런스 기반의 시장신뢰), (다각화된 보안 포트폴리오), (견실한 재무구조)로 정리될 수 있습니다.

      • Weaknesses (약점): 동사의 약점으로는 규모의 경제 부족에 따른 수익성 한계와 사업 집중도가 지적됩니다. 최근 3년간 실적을 보면 매출은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의 변동성이 크고, 20202021년에는 연속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이익 창출이 불규칙했습니다​. 이는 회사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지속적인 흑자 기조 확립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영업이익률이 한 자릿수 중반에 머물고 있어(2022년 영업이익률 9.2% → 2023년 56% 전망​


         비용 구조 개선이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특히 정부 사업 위주의 매출 구조는 단가 압박과 프로젝트 지연 위험에 노출돼 있어 마진율 관리가 어렵고, 공공 프로젝트 공백 시 실적이 출렁일 수 있습니다. 둘째, 기업 규모가 크지 않아 글로벌 거대 기업과 경쟁시 인지도와 자원 면에서 열위에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원증명 솔루션을 해외에 수출하려 할 때, IBM이나 MS 같은 글로벌 업체 대비 브랜드 파워가 약해 신뢰 확보에 추가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인력 및 조직 규모가 제한적이어서 동시다발적 대형 프로젝트 수행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번째 약점으로 해외 매출 비중 낮음을 꼽을 수 있습니다. 현재 매출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발생하고 해외 매출은 10% 내외에 불과한데​ ,
         
        이는 성장의 폭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해외 진출을 본격화한다지만 현지 네트워크 부족, 문화/규제 차이에 따른 시행착오가 불가피합니다. 요컨대, 라온시큐어의 약점은 (작은 기업 규모로 인한 수익성 및 자원 한계)와 (매출처 집중으로 인한 변동성)으로 요약됩니다.

     

      • Opportunities (기회): 향후 라온시큐어가 성장할 기회 요인은 다대합니다. 우선 시장의 구조적 성장이 가장 큰 기회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디지털 인증과 보안 시장 자체가 고성장 국면에 있기 때문에, 별다른 시장점유율 하락 없이도 뚜렷한 톱라인(top-line) 성장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둘째, 정부 정책 지원입니다. 한국 정부는 향후 몇 년 내에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모바일 신분증(모바일 주민등록증 등) 도입을 추진 중이며, 이 과정에서 민간 노하우를 가진 기업과 협업이 필수적입니다​

         라온시큐어처럼 선행 경험이 있는 기업에게는 추가 사업 참여의 기회가 높습니다. 또한 디지털 플랫폼 정부 구현과 같은 국가적 아젠다가 진행되는 한, 안전한 인증 인프라 구축 수요는 지속될 것입니다. 셋째, 신규 사업 영역 확대입니다. 예를 들어 라온시큐어가 개발 중인 딥페이크 탐지 기술이나 양자암호 솔루션 등은 앞으로 새로운 매출원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딥페이크 대응 솔루션은 아직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선점 효과를 누릴 수 있고, 양자내성암호 분야는 국가차원의 투자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어 향후 표준기술 채택 시 큰 사업으로 연결될 수 있습니다. 넷째, 해외 시장 진출입니다. 디지털 신원증명은 각 국가들이 이제 막 도입을 검토하는 단계로, 한국 사례를 찾는 곳이 늘어날 전망입니다​.

        . 동사는 DID얼라이언스 등 국제 컨소시엄 활동을 통해 해외 네트워크를 구축해왔기 때문에, 인도네시아 등을 시작으로 新시장 개척에 나설 기회가 있습니다​

        . 특히 동남아, 중동, 남미 등의 신흥국들은 한국의 디지털 ID 성공사례에 관심이 높아 수출 특수를 기대할 만합니다​

        . 이러한 요소들은 라온시큐어에게 (높은 시장 성장률), (정부 지원하의 국내 추가 사업), (신기술로 인한 신규 시장), (해외 진출)이라는 네 가지 축의 기회를 제공합니다.

     

    • Threats (위협): 반면 라온시큐어가 직면한 위협 요인들도 인지해야 합니다. 먼저 경쟁심화와 기술패권 경쟁입니다. 앞서 경쟁사 비교에서 언급했듯, 국내외 수많은 기업들이 이 시장에 뛰어들고 있어 경쟁우위 유지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히 통신3사는 공동으로 PASS 인증 앱을 통해 거대한 이용자 풀을 확보했고, 빅테크 기업들은 FIDO2 기반 생체인증 기능을 자체 플랫폼(iOS, Android 등)에 통합하고 있어, 자칫하면 대체재로 인해 라온시큐어의 솔루션이 설 자리를 잃을 수 있습니다. 또한 블록체인 DID 분야는 아직 표준이 정립되지 않아, 정부 정책이나 국제 표준화 결과에 따라 승자가 갈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약 당사의 옴니원 플랫폼이 아닌 경쟁 프로토콜(예: W3C DID 표준 등)이 주류가 된다면 추가 투자 압박이나 기술 전환의 리스크가 있습니다. 둘째, 보안사고 및 책임의 위협이 있습니다. 신원인증 시스템은 단 한 번의 보안사고로도 신뢰도가 크게 훼손될 수 있는 민감한 영역입니다. 만약 라온시큐어가 구축한 시스템에서 대규모 개인정보 유출이나 인증 위변조 사고가 발생할 경우 법적·평판적 책임을 피하기 어렵고, 이는 회사 존립에도 영향을 줄 심각한 위협입니다. 셋째, 규제 및 국제정세의 리스크입니다. 개인정보보호 규제 강화로 인해 일부 신원인증 사업이 지연되거나 추가 보안요구사항이 생길 수 있으며, 수출을 추진하는 국가에서 현지 규제나 정치적 이슈로 프로젝트가 무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국가 디지털ID 사업은 주권과 연결된 이슈여서 지연이나 변경이 생길 수 있고, 수출 시에도 현지 파트너와의 마찰이나 정책 변경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마지막으로 주가 측면에서는 중소형 기술주로서 시장 변동성, 유동성 위험이 항상 따릅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Threat 요인들은 (경쟁 격화와 기술변화), (보안리스크), (정책/외부환경 불확실성)으로 요약되며, 투자자는 이를 고려하여 margin of safety를 확보할 필요가 있습니다.

    4. 결론 및 투자 전략 제안

    종합 평가: 라온시큐어는 디지털 인증이라는 성장산업 분야에서 독자적인 기술력과 선도 경험을 갖춘 기업으로서, 중장기 성장 잠재력이 돋보이는 반면 단기 수익성 변동성과 소형주 특유의 변동성을 동반한 투자 대상입니다.

    단기적으로는 대형 호재/실적 개선 모멘텀이 뚜렷하지 않은 가운데 주가가 제한적인 범위에서 움직이고 있어, 보수적 투자자라면 관망 또는 비중축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6개월1년 시계에서는 실적 가시성이 낮고 시장 변동성에 민감하므로, 신규 진입 시 충분한 조정 후 분할매수하는 전략이 리스크 관리에 유리합니다. 반면, 중장기 관점에서는 디지털 신원증명 시장의 높은 성장성과 라온시큐어의 기술 리더십을 감안할 때 투자 매력도가 양호하다고 판단됩니다. 정부의 디지털 신분증 확대 정책, 민간 부문의 제로트러스트 보안 수요 증가, 글로벌 DID 시장 개화 등은 향후 23년간 동사의 매출 기반을 크게 넓혀줄 수 있는 요인입니다​

     

    . 특히 2024~2025년에는 모바일 주민등록증과 같은 새로운 전국민 단위의 사업과 동남아 등 해외 프로젝트 수주 가능성이 현실화될 경우, 성장 모멘텀이 한층 강화될 것입니다.

     

    투자 전략 제안: 투자 전략 측면에서, 중장기 성장스토리에 공감하는 투자자라면 현 수준에서 비중을 서서히 늘려가는 전략을 제안드립니다. 다만 기업 규모가 작고 변동성이 크므로 포트폴리오 내에서 과도한 비중을 차지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예: 포트폴리오의 5~10% 이내 비중 권장). 또한 모멘텀/이슈 드리븐 종목이므로 주요 이벤트 일정을 체크하며 트레이딩 전략을 병행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정부의 주민등록증 모바일화 시범사업 발표 전후나, 해외수주 관련 소식이 나올 때 단기 급등 가능성이 있으므로 일부 단기 차익 실현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악재 시나리오에 대한 대비도 필요한데, 동종 업계에서 대형 보안사고 발생이나 정부사업 지연 등의 뉴스에는 빠르게 대응(손절매 등)하는 기민함이 요구됩니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앞서 SWOT에서 언급한 경쟁 심화, 기술변화, 수익성 저하 등이 있으며, 특히 기술주 전반에 대한 시장 심리도 영향을 줄 것입니다. 금리인상기에는 성장주의 밸류에이션이 압박받을 수 있으므로 거시경제 동향 역시 모니터링 포인트입니다.

     

    향후 전망: 향후 1~2년 내 라온시큐어의 핵심 체크포인트는 ① 국내 신규 사업 수주 (특히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증 사업 등), ② 해외 진출 성과 (인도네시아 등 구체적 계약), ③ 수익성 개선 여부 (영업이익률 상승 및 흑자 지속) 세 가지로 요약됩니다. 이 중 두세 가지가 긍정적으로 달성된다면 회사의 펀더멘털이 한 단계 레벨업하면서 주가 재평가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매출은 늘어도 이익이 계속 저조하거나, 기대했던 해외 진출에 성과가 없다면 주가는 당분간 저평가 국면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현재 증권가에서 전망하는 바에 따르면, 2024년 이후 라온시큐어는 디지털 인증 수요 확산으로 연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영업이익도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이러한 성장 궤도에 진입한다면 중장기 상승 여력은 충분하다는 판단입니다.

    투자 의견: 결론적으로 라온시큐어에 대해 단기적으로는 “관망 또는 트레이딩 범위”, 중장기적으로는 “긍정적”(Positive) 의견을 제시합니다. 단기에는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나, 3년 이상 길게 볼 경우 업계 평균을 상회하는 성장률과 잠재력을 고려하여 매수 관점을 견지할 만합니다. 투자자는 기술적 조정 시 분할 매수로 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회사의 성장 궤적을 함께하며 성장주의 과실을 기대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입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리스크 요인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게을리하지 말고, 정기적인 실적 리뷰와 뉴스 체크를 통해 투자 판단을 업데이트하는 것을 권고드립니다. 요약하면, 라온시큐어는 “높은 성장성 과 변동성”의 특성을 지닌 종목이므로, 이에 부합하는 균형 잡힌 투자 전략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1] 2024년 전망 및 기술주 관련 의견


    [2] 재무제표 분석 – 2021~2023년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 ROE 등

    • 참고내용: 라온시큐어 분기보고서, 연간재무제표, 증권분석 리포트
    • 예시 링크: https://dart.fss.or.kr

    [7] 기업 창립 및 코스닥 상장, 본사 위치 등 기업 기본정보


    [9] 모바일 보안 솔루션, 생체인증, 앱 위변조 방지 등 제품 및 기술 소개


    [10] 블록체인 기반 신원인증 플랫폼 ‘옴니원’ 관련 기술 및 서비스 설명


    [11] 기업 역사, 창립 및 상호 변경, 자회사(라온화이트햇) 관련 정보


    [13] 전자서명법 개정과 OmniOne CX 관련 뉴스 및 기업 대응

    • 참고내용: 정부 발표자료, 보안업계 뉴스, 라온시큐어 IR자료
    • 예시 링크: https://www.law.go.kr
      (또는 관련 보도자료 페이지)

    [14] 정부 모바일 공무원증, 모바일 운전면허증, e-병무지갑 등 대국민 사업 추진 내용

    • 참고내용: 행정안전부, 경찰청, 병무청 보도자료 및 라온시큐어 공식 발표자료
    • 예시 링크: http://www.mois.go.kr

    [15] 딥페이크 탐지 기술 및 관련 신기술 개발 발표


    [16]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 해외 디지털 신원증명 진출 관련 내용

    • 참고내용: 정부 디지털 신분증 추진 정책 자료, 라온시큐어 해외사업 IR자료
    • 예시 링크: https://www.mnd.go.kr

    [18] 병무청 블록체인 간편인증 서비스 구축 및 관련 성과

    • 참고내용: 병무청 및 관련 기관 보도자료, 라온시큐어 사업 발표자료
    • 예시 링크: https://www.mma.go.kr

    [20] 주가 급등(약 25% 상승) 등 단기 주가 변동성 관련 자료


    [21] 경영진 소개, 경쟁사 비교 및 산업 분석


    [22] 기술적 분석 – 이동평균선, RSI, MACD 등 주가 차트 분석


    [24] “IT 보안·인증 선도기업”이라는 기업 비전 및 중장기 목표(예: 2030년 매출 5,000억 원 달성)

    • 참고내용: 라온시큐어 경영전략 발표자료, IR 프레젠테이션, 언론 보도자료
    • 예시 링크: https://www.laonsecure.com/ir

    [30] 외국인 지분 및 수급 관련 공시자료

    • 참고내용: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자료, 증권사 리포트
    • 예시 링크: https://dart.fss.or.kr

    [32] 2023년 연간 실적(매출, 영업이익, 영업손실 등) 관련 분석


    [38] ‘KeySharp’ 제품군 및 양자내성암호(PQC) 기술 적용 관련 내용


Designed by Tistory.